초보자가 조심 해야 하는 애드센스 주의 사항 - 한크마
본문으로 바로가기
  1. Home
  2. 블로그
  3. 초보자가 조심 해야 하는 애드센스 주의 사항

초보자가 조심 해야 하는 애드센스 주의 사항

 발행: ·  댓글개 ·  ΛΞΟΠΡΣΨθ
반응형

초보자가 알아야 하는 구글 애드센스(Google AdSense) 이용 시 몇 가지 주의 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r구글 애드센스 승인 후 광고를 게재하고 나면 수입이 적지만 들어 오죠. 재미있기도 합니다. 우리는 구글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이기도 하지만 구글과 파트너를 맺는 파트너이기도 하죠. 그러므로 구글이 말하는 정책을 살펴봤습니다.


애드센스 주의 사항 및 참고 사항

 

클릭수 및 노출수 (Clicks and impressions)

 

1) 광고 클릭 금지 : 본인의 사이트에 올려진 구글 광고를 자신이 클릭하면 안 됩니다. 보통 이런 클릭수를 무효 클릭이라고 합니다. 이유는 구글에서는 자연스러운 관심에 의해서 구독자가 광고를 클릭하게 만드는 것만 유효하다고 봅니다. 한두 번은 실수로 경고를 줄 수 있지만 여러 번 하게 되면 애드센스 계정이 없어지기도 한다고 하네요.

 

※ 만약 본인 사이트의 광고를 클릭을 한다면 구글에서 무효 트래픽이 감지되었다'는 이메일을 받을 수 있으며 30일간 애드센스 계정이 정지될 수도 있다고 합니다.

 

2) 광고 클릭 요청(부탁) 금지:

 

친구나 지인에게 본인 사이트를 알려주고 광고를 클릭하라고 부탁해도 안됩니다. 자발적인 관심으로 사이트에 들어와야 합니다. 이 행위 또한 구글에서는 부적절한 행동으로 간주합니다.

 

3) 신중한 광고 배치:

 

광고 클릭을 사용자를 속여 무리하게 유도하는 행위를 말합니다. 구글 애드센스에서 자동 광고를 설정하셨다면 걱정을 안 해도 되는 부분입니다.

 

간단히 말하면 광고와 콘텐츠의 적당한 간격이 필요하고, 내용이 광고인지 콘텐츠인지 모르게 만들면 안 됩니다. 또 다른 예를 들면, 광고와 게임 컨트롤(플래시 플레이어)을 너무 가까이 배치하지 말아야 합니다.

 

4) 사이트 홍보 방식 :

 

다른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본인 사이트에 이용자(traffic)를 늘리기를 하려고 할 때, 본인 사이트를 팝업창을 이용하여 들어오게 해서는 안됩니다. 그리고 사이트를 클릭했을 때 자동으로 소프트웨어가 실행되게 만들어도 안됩니다. 이런 경우 무효 트래픽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.

 

5) 구글 애널리틱스 사용 :

 

구글 애널리틱스를 통해서 사이트 유입(traffic) 통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광고 수익을 극대화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애드센스 승인 후 자동 광고 설정하기

티스토리 구글 애드센스 연동하기


콘텐츠 가이드라인

 

구글에 따르면 구글 애드센스가 개제 되는 모든 페이지는 Google 게시자 정책에 따라 금지된 콘텐츠 유형은 사이트에 개제할 수 없습니다. 이 사항은 어쩌면 당연히 상식적인 이야기입니다. 예를 들어 불법 콘텐츠, 불법 행위를 조장하는 콘텐츠, 다른 사람의 법적 권리를 침해하는 콘텐츠(저작권)등이 이 사항에 포함됩니다. 아마도 다른 포털 사이트도 비슷한 정책을 가지고 있을 거라고 예상됩니다.

 

주의 사항 중에는 멸종위기의 동식물은 콘텐츠도 허용이 안된다고 합니다. 예를 들면 판매를 하는 사이트 등을 말합니다.

 

이 외에도 많은 콘텐츠 관련 주의 사항이 있는데 참고해보세요.

 


광고 구현(Ad implementation)

 

1) 애드센스 코드 수정, 변경 금지:

 

코드를 생성한 후에는 코드 변경을 하면 안 되며 코드를 적절한 곳이 아닌 곳에 삽입하거나 배치해서는 안됩니다. 

 

또한 광고가 콘텐츠를 가리거나 콘텐츠와 겹치는 행위, 사용자가 모바일 웹페이지를 드래그하는 동안 광고 클릭 실행하게 해서는 안 됩니다.

 

2) 팝업창과 자동 설치 소프트웨어 연동 금지:

 

구독자에게 팝업창을 자동으로 띄우게 한다거나 파업 메시지를 통에 사용자의 브라우저 홈페이지 변경을 하면 안 됩니다. 즉 우리가 어떤 사이트를 들어가면 자동으로 팝업 창들이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죠. 그리고 어떤 사이트는 악성 프로그램을 알아서 실행을 시켜 구독자가 원하지 않는 행위를 말합니다. 


오늘은 간단하게 애드센스 주의 사항에 알아봤는데요. 복잡해 보여도 어쩌면 상식적인 이야기입니다. 실력이 안돼서 팝업창을 띄어 광고를 유도하는 건 하지도 못합니다. 저처럼 자동 광고 설정을 이용하면 좀 더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. 단지 지인에게 광고 클릭 부탁하지 않고 또 본인이 직접 클릭하지 않으면 어느 정도 정책에 위반되지 않습니다.

 

 

 참고:

 https://support.google.com/adsense/answer/9335564

 

 

반응형
 댓글 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