글쓰기 초보가 처음으로 블로그 시작하고 느낀 블로그 글 쓰기 리뷰
한 달이 어떻게 시간이 흘러갔는지 모를 정도로 블로그 글쓰기에 집중한 시간이었습니다.
하루에 2개의 포스팅을 올리려고 노력했는데 그게 정말 쉽지 않더군요. (저만 그럴 수도 있어요)
처음으로 글을 쓸 때는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무엇을 써야 하는 지에 대한 고민만 며칠을 했었죠. 그러다 보니 답답함도 밀려오고 조급함도 생기더군요. 블로그 초보티가 팍팍 났죠. 그리고 지금도 초보입니다. 초보라 이렇게 글을 쓰는 게 맞는 건가 하는 의문을 하면서 글을 썼습니다.
어떤 글이 좋은 가는 읽는 독자들이 판단한다고 봐요. 내가 아무리 멋있는 척 써 내려간들 그 글이 미숙하거나 솔직하지 않다면 다들 알겠죠. 하지만 너무 완벽할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. 거짓 된 정보가 아닌 이상 회사 홈페이지도 아니고 개인 블로그에 얼마나 잘 쓸 수 있겠어요. 물론 정말 글 잘 쓰시는 블로거들도 많습니다. 처음부터 잘하는 사람도 있지만 저처럼 글 쓰기가 힘든 사람들도 있죠.
간단한 한 달 소감은 '쉽지 않구나, 계속 할 수 있을까'였습니다.
그리고 글을 쓰는 것은 말을 하는 것보다 내 밑천이 빨리 들어 나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. 너무 많은 이야기를 한 번에 하려고 할 때도 힘이 들고, 아직 정리 되지 않은 이야기를 시작할 때도 어렵습니다. 그러면 쓴 글을 다시 수정하고 또다시 수정 하기를 반복하기도 하고, 어떤 때는 '애라 모르겠다'하고 업로드를 할 때도 있습니다. 사실 다듬는다는 게 끝이 없더군요.
하지만 처음과는 다르게 한 명, 두 명 조회수가 올라가는 재미가 있습니다. 물론 아직 아주 낮은 조회수이지만 그것 만으로도 즐겁습니다.
블로그를 하다 보니 아침에 일어나자 마자 뉴스를 보는 게 아니라, 블로그에 들어와서 '어제는 얼마나 조회수가 늘었나'에 관심이 더 가더군요. 이것도 처음이라 그런 건지도 모르죠. 늘 새로운 일은 이래서 즐겁습니다.
늘 처음에는 열심히 하다가 언젠가는 또 그만둘 수도 있지만 지금은 즐기려고 합니다. 아는 사람들이 내 글을 본다면 아마 못 쓰지 않았을까 합니다. 그만큼 쑥스러운 일이죠. 전 그래서 앞으로도 아는 지인이 아무도 보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입니다.
어떤 사람들은 블로그를 통해 나와 비슷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소통의 공간이라고 합니다. 현실에서는 사람들과의 만남의 한계가 있죠. 지리적 공간적 시간적인 한계들이 있는데 블로그는 온라인 공간에서 언제든 어디 서든 소통할 수 있다는 매력이 있는 거 같습니다.
늘 언제나 나와 비슷한 취향이나 생각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고 싶어 했습니다. 나이도 필요 없고 지역도 필요 없는 그런 공간이 블로그인 거 같습니다. 여긴 시험을 치르는 공간이 아니니 조금은 자유러워져도 괞찮다고 생각합니다.
간단 한 달 후기였습니다. 오늘도 힘차게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.
한번에 애드센스 승인 후기 및 구글 SEO 최적글 쓰기 요령